취미/다트
🎯 다트를 던지지 않는 손? 그냥 가만히 두는 손이 아닙니다!
DGNCBRN
2025. 5. 7. 03:56
반응형
– 비투척 손의 역할과 올바른 자세 완전 정리
“던지는 팔은 연습했는데, 반대쪽 손은 뭐하고 있지…?”
“포즈가 어색해 보이는 이유가 비투척 손 때문일 줄은 몰랐어요.”
📌 많은 다트 입문자들이 간과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 ‘던지지 않는 손(비투척 손)’의 자세입니다.
오늘은 이 손의 숨겨진 역할과
✅ 바른 위치
✅ 실전 중 흔한 실수
✅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까지 모두 짚어보겠습니다.
✋ 비투척 손이란?
- 다트를 던지지 않는 쪽의 손, 즉 왼손잡이라면 오른손, 오른손잡이라면 왼손입니다.
- 비투척 손은 단순히 “다트 쥐기 전까지 쓰는 손”이 아닙니다.
→ 실제로는 균형, 정렬, 집중력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비투척 손이 하는 3가지 핵심 역할
1. 📐 몸의 균형 잡기
- 다트를 던질 때 몸이 앞으로 쏠리거나 비틀어지지 않게 중심을 잡아줍니다.
- 특히 스탠스(발 자세)가 좁은 선수일수록 비투척 손의 균형 유지 능력이 중요합니다.
2. 🎯 정렬과 시각적 기준 유지
- 던지기 전 다트를 들고 조준할 때,
비투척 손이 다트의 각도와 시선을 조율해주는 기준점이 됩니다. - 조준 후 다트를 빼면, 이 손이 시선의 정렬 기준선으로 기억됩니다.
3. 🧠 집중력 유지 및 루틴 완성
- 어떤 선수들은 왼손을 가슴 앞에 모으거나, 허벅지에 살짝 얹기도 합니다.
- 이 동작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주고, 일관된 루틴 형성에 도움을 줍니다.
❌ 잘못된 비투척 손 자세 – 이런 실수 주의!
실수 유형문제점개선 방법
손을 멍하니 늘어뜨림 | 몸 전체의 균형 흐트러짐 | 허리나 반대 팔꿈치 쪽으로 살짝 모아주기 |
다트 조준 후 손을 과하게 흔듦 | 시선 분산, 집중력 저하 | 조준 후 자연스럽게 아래로 내려놓기 |
손의 위치가 항상 다름 | 루틴 실패 | 루틴의 일부로 손의 위치를 기억 |
✅ 실전에서의 바른 자세 팁
✔ 조준 시:
- 다트를 들고 있는 팔과 비투척 손이 균형 잡힌 삼각형을 만들 듯이 위치
✔ 조준 후:
- 손을 천천히 자연스럽게 내리고, 몸의 중심은 유지
- 다트가 손에서 나가는 순간까지 정지 유지
✔ 루틴 만들기:
- 던지기 전 비투척 손의 위치를 매번 일정하게 설정
→ “왼손을 가슴에 얹는다”, “허벅지를 살짝 누른다” 등 자기만의 동작 만들기
🏁 결론: 다트는 두 손으로 던지는 스포츠다 (비유적 의미로!)
던지는 손이 ‘무기’라면,
**던지지 않는 손은 그 무기를 제대로 조율하는 ‘지지대’**입니다.
✔ 자세가 불안정하다면, 비투척 손을 점검해보세요.
✔ 루틴이 흐트러졌다면, 왼손의 움직임을 정리하세요.
✔ 작은 변화가 정확도와 집중력 모두를 향상시켜 줄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