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미/피클볼

🥒피클볼 서브와 리턴 후, 어디로 움직여야 할까? 포지션 기본 완전정리

DGNCBRN 2025. 6. 21. 05:47
반응형

피클볼을 막 시작했을 때 가장 혼란스러운 순간 중 하나는 바로 서브와 서브 리턴 이후 어떻게 움직여야 할지입니다. “공은 넘겼는데... 그다음엔 어디로 가야 하지?” 싶었던 적, 한 번쯤 있으셨죠?

특히 더블스 게임에서 위치를 잘못 잡으면 상대에게 빈 공간을 주거나, 파트너와 동선이 꼬이는 일이 자주 발생합니다. 오늘은 서브와 리턴 이후에 어떤 포지션으로 이동해야 하는지를 정리해보는 시간입니다.


✅ 서브를 넣은 후, 네트로 곧장 뛰어가면 안 되는 이유

피클볼은 기본적으로 더블 바운스 룰이 적용됩니다.
즉, 서브 리턴까지는 양쪽 모두 한 번씩 바운드 후에 쳐야만 합니다.

따라서 서브를 넣은 서버는 다음과 같은 흐름을 가져야 합니다:

  1. 서브를 깊게 넣는다 (상대의 베이스라인 근처)
  2. 리턴샷이 바운드되기를 기다린다
  3. 그 후 천천히 전진하며 논발리 존(논발리 구역) 근처까지 진입

✔ 너무 빨리 네트 쪽으로 뛰어가면, 리턴샷이 자기 앞에 떨어져서 제대로 대응 못 할 수 있습니다. 리턴을 받고 나서 기회가 생기면 천천히 네트 근처까지 이동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리시버(서브 리턴하는 쪽)는 다르다! 리턴 후 바로 전진

리시버는 공이 바운드된 상태에서 받기 때문에, 서브를 리턴한 뒤엔 바로 네트 쪽으로 전진하는 것이 정석입니다. 왜냐하면 다음 샷은 서버 측에서 반드시 바운드 후에 쳐야 하므로, 이동할 시간을 벌 수 있기 때문이죠.

🎯 리시버가 리턴 후에도 베이스라인에 머무르면?
→ 상대에게 네트 앞 공간을 내주는 셈이 되고, 수세에 몰릴 확률이 높아집니다.

👉 팁: 리턴은 되도록 깊게, 천천히, 띄워서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그 사이에 천천히 전진하며 논발리존 라인 바로 뒤에 포지셔닝하면 상대의 강타를 막을 수 있는 준비가 됩니다.


👫 더블스 포지션, 이렇게 맞춰보세요

초보자라면 특히 파트너와의 위치 정렬이 중요합니다. 한 명은 네트 근처, 한 명은 뒤에 있으면 커버가 안 되기 때문이죠.

  • 두 사람 모두 논발리 존 라인 바로 뒤에서 나란히 정렬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 상대가 드롭샷을 시도하더라도, 같은 라인에 서 있다면 대응이 훨씬 쉽습니다.

📌 서버팀일 경우엔 첫 샷은 베이스라인, 리턴 후 둘 다 천천히 전진
📌 리시버팀일 경우엔 리턴 후 둘 다 적극적으로 전진


🧠 포지셔닝은 경험에서 익힌다

이론으로 이해해도 막상 게임에 들어가면 머리가 하얘지는 순간이 많습니다. 저도 처음에는 서브 넣고 어디로 가야 할지 몰라 제자리에서 멍하니 서 있었던 적이 많았죠.

하지만 몇 번의 게임을 하며 다음을 스스로 체감했어요:

  • 내가 움직이지 않으면, 상대는 반드시 빈 공간을 노린다.
  • 파트너와 발을 맞추면, 실력보다 더 탄탄한 팀처럼 보인다.

피클볼은 힘보다 위치 싸움이 더 중요합니다. 잘 친 공보다 잘 선 위치가 경기를 좌우한다는 걸 기억해두세요!


마무리하며

서브와 리턴은 단순히 공을 넘기는 게 아닙니다. **이후의 움직임까지 생각하는 ‘포지션 게임’**이 피클볼의 진짜 재미를 만들어 줍니다.

처음에는 헷갈릴 수 있지만, 조금씩 몸에 익히다 보면 어느 순간 상대보다 먼저 자리를 선점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게 될 거예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