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취미/테니스

🎾라운드 숄더(둥근 어깨), 테니스에 어떤 영향을 줄까?

by DGNCBRN 2025. 6. 10.
반응형

테니스를 즐기는 분들이라면 "라운드 숄더(round shoulder)"라는 용어를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주로 헬스 트레이너나 물리치료사들이 사용하는 용어로, 자세 불균형 중 하나입니다. 특히 테니스처럼 상지(팔, 어깨) 회전과 움직임이 많은 스포츠에서는 라운드 숄더가 실력 향상에 걸림돌이 되기도 하죠.

오늘은 라운드 숄더가 테니스에 어떻게 악영향을 미치는지, 어떤 부상 위험을 높이는지, 그리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라운드 숄더란?

라운드 숄더는 어깨가 안쪽으로 말리고, 머리가 앞으로 빠진 구부정한 자세를 말합니다. 주로 장시간 책상 앞에 앉거나 스마트폰 사용이 많을 때 생기며, 상체 전면 근육(대흉근, 전면 삼각근 등)은 짧아지고, 등 상부(승모근, 능형근)는 약해지는 불균형이 나타납니다.


🎾 테니스에서 라운드 숄더가 미치는 영향

1. 서브와 스트로크의 파워 저하

서브 동작은 어깨의 외회전과 신전이 중요한데, 라운드 숄더는 가동 범위를 제한시켜 백스윙이 작아지고 파워가 감소합니다.

2. 타점의 불안정

팔이 내측으로 말려 있으면 자연스럽게 임팩트 타점이 몸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포핸드나 백핸드에서 제대로 된 팔 뻗기(Extension)가 어렵습니다.

3. 어깨 통증 및 부상 유발

어깨가 앞으로 말린 상태에서 반복적으로 서브나 스매시를 하면 충돌 증후군(Shoulder Impingement) 위험이 커지고, 회전근개에 부담이 가해집니다.

4. 코어와 체간 연결의 단절

라운드 숄더는 가슴을 닫고 척추를 구부정하게 만들어 코어와 상지의 연결이 약해져, 체중 이동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습니다.


🛑 당신도 라운드 숄더일까? 자가 체크법

  • 벽에 등을 붙이고 섰을 때 어깨와 머리가 닿지 않는다.
  • 양손을 위로 올릴 때 팔꿈치가 굽거나 앞으로 나온다.
  • 셔츠 어깨라인이 항상 앞쪽으로 흘러내린다.
  • 평소 목, 어깨 통증을 자주 느낀다.

위 항목 중 2개 이상 해당된다면 라운드 숄더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라운드 숄더, 이렇게 개선하자!

1. 가슴 앞쪽 스트레칭

  • 폼롤러 위에 눕고 양팔을 벌려서 대흉근 스트레칭
  • 문틀을 이용해 양손을 걸고 상체 앞으로 밀기

2. 등 상부 강화 운동

  • 페이스풀(Face Pull)
  • 밴드 리트랙션(Band Retraction)
  • 스케이프션(Scaption)

3. 테니스 전 후 스트레칭 루틴 도입

테니스 후에는 팔꿈치, 어깨, 흉추 부위를 풀어주는 시간을 반드시 확보해야 합니다. 특히 서브 후의 어깨 긴장은 빨리 풀어주는 것이 부상 예방에 중요합니다.


📝 마무리

테니스는 단순히 팔만 쓰는 운동이 아닙니다. 어깨, 등, 코어, 고관절이 연결된 전신 협응성이 중요한 스포츠죠. 그런데 라운드 숄더는 이 연결을 끊고, 부상과 성능 저하를 동시에 불러옵니다. 서브가 약해졌거나 어깨 통증이 잦다면 단순한 기술 문제가 아니라 자세 불균형일 수 있습니다.

운동 실력의 바닥을 높이고 싶다면, 폼롤러 하나 들고 오늘부터 라운드 숄더 교정을 시작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