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

🏋️‍♂️ 크로스핏 RXD가 어렵다면? 대체 동작(Scaling) 제대로 알고 바꿔야 합니다

by DGNCBRN 2025. 7. 1.
반응형

 

크로스핏을 처음 접하면 WOD(Workout of the Day) 아래에 붙은
“RX” 또는 “RXD” 라는 표시가 눈에 들어옵니다.

"RX가 뭐지?"
"난 아직 저 무게 못 드는데, 바꿔도 되는 걸까?"
"대체 동작은 누가 어떻게 정하는 거지?"

오늘은 크로스핏에서 RXD(Rx’d) 대신 사용할 수 있는 대체 동작,
Scaling Movement에 대해 정확히 알아보겠습니다.


✅ RXD란?

**RX 또는 RXD(Rx’d)**는
‘처방된 대로(As Prescribed)’라는 의미로,
크로스핏 WOD에서 원래 지정된 중량, 반복 수, 동작 범위 그대로 수행하는 것을 뜻합니다.

예:

"21-15-9 of Thrusters (42.5kg/30kg) and Pull-ups"
→ 이 WOD를 남성 42.5kg, 여성 30kg으로 스케일 없이 수행하면 RXD입니다.


⚠️ 그런데 왜 대체 동작이 필요할까?

크로스핏은 모든 레벨의 사람들이 함께 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RX 기준은 중·상급자 이상을 기준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이유로 스케일(대체)이 필수적입니다:

  • 무게가 너무 무거워서 부상 위험 있음
  • 기술 난이도가 높아 동작 정확도가 떨어짐
  • 운동 시간이 RX 기준보다 지나치게 길어짐
  • 신체 조건상 특정 동작이 불가능함

👉 스케일은 실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운동 효과를 최대화하고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합리적인 선택”**입니다.


🔄 대표적인 크로스핏 RXD 대체 동작 예시

RX 동작대체 동작 (Scaling)설명
Pull-up Ring Row / Band Pull-up 상체 당기는 힘을 점진적으로 강화
Push-up (풀 레인지) 무릎 대고 Push-up / Incline Push-up 어깨/가슴 강화 목적 유지
Wall Ball (9kg) 6kg / 4kg 공 사용 또는 낮은 타깃 무게와 목표 높이 모두 조절
Thruster (42.5kg) 30kg 또는 덤벨로 대체 하체+오버헤드 유지는 필수
Double Under (줄넘기 2회 회전) Single Under (한 번 회전) 심폐강도 유지, 리듬 익히기
Handstand Push-up Pike Push-up / DB Shoulder Press 어깨 근력 유지 + 위험 회피
Toes to Bar Knee Raise / Hanging Leg Raise 복근 강화 목적 그대로 대체
Box Jump (24”) Step-up / 낮은 박스 점프 하체 폭발력 점진적 훈련
Deadlift (102kg) 60kg / 40kg / 케틀벨로 대체 자세 정확도 유지가 핵심
Muscle-up Jumping MU / Pull-up + Dip 분리 각 구성 요소 분할 훈련
 

💡 어떻게 내 수준에 맞는 스케일을 선택할까?

✔ 1. 시간 기준

  • WOD 시간 목표가 10~15분인데 25분 이상 걸린다면?
    난이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신호

✔ 2. 폼과 리듬

  • 동작이 무너지고 템포가 지나치게 느리다면
    폼이 유지되는 수준으로 무게 또는 동작 변경

✔ 3. 부상 경험 또는 특정 약점

  • 어깨 통증이 있다면 Handstand Push-up은 피하고
    → 덤벨 숄더프레스 같은 안정적 대체 동작 사용

🧩 스케일이 부끄러운 것이 아니다

크로스핏 커뮤니티에서는 스케일을 **‘개인 최적화’**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무리한 RX 고집은 실력 향상에 방해가 되고,
지속적인 훈련을 방해하는 부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스케일은 운동 효과를 유지하면서
✔ 점진적 성장으로 RXD에 도달할 수 있는 디딤돌입니다.


✍️ 마무리 – RXD보다 중요한 것은 ‘나에게 맞는 강도’

크로스핏에서 진짜 중요한 건
RXD라는 표식을 달았느냐가 아니라,
매일의 WOD가 내 몸에 맞게 효과적으로 수행되었느냐입니다.

🏁 목표는 결국 더 나은 나,
그 출발점은 무리하지 않고 현실적인 스케일링을 선택하는 데 있습니다.


 

반응형